반응형

 

 ′12년도 부터 IT Career를 이어오면서 많은 Project를 경험했고 팀원으로서 수행 뿐 아니라 PM으로 Leading도 해보았다.

′23년도 12월에 문뜩 나는 Project Management 전문가인가? 스스로 물었을 때, 경험에 의존적일 뿐 공식적인 방법으로 증명할 수 없었다. 때문에, 그 동안의 Project 경험과 전문지식을 정리 할 겸 PMP 자격증을 취득하기로 마음먹었고 ′24년 4월에 Project Management Professional (PMP)®, PMP 자격증을 취득하였다. 

 

Project의 궁극적인 목표는 Value(가치) 창출이다. 여기서 Value란, 보통 재무적인 효과/이점을 뜻한다. 물론, 정량적인 Cost 효과가 아닌 정성적인 면도 존재하지만 이 부분도 결국엔 재무적 가치로 환산 되어야 한다. 재무효과에 대해서는 다음 번에 상세히 다뤄보도록 하겠다. 

 

PMP 작격증은 PMBOK 7판으로 취득하였고, 전체적인 로드맵은 아래 그림과 같다. 

 

[PMBOK 7판 Road Map]

 

1. 회사는 일반적으로 가치 창출을 위하여 내부적으로 포트폴리오를 관리하고 있으며, 하위 그룹으로 프로그램, 프로젝트가 존재한다. 프로젝트를 통해 포트폴리오 가치를 창출해 나간다. 

2. Project Manager (PM) 는 책임/존중/공정성/정직을 기반으로 Project를 Leading 한다. 

3. 프로젝트 12개의 원칙을 기반으로 조정 작업을 통해 프로젝트를 어떻게 성공적으로 이끌지 기획한다. 

 

 이 글을 읽으면서, 너무 이론적이고 이런 부분이 Project 성공에 도움이 될까?라고 생각할 수도 있다. 하지만 가치 창출을 이해하고 가치 창출을 위해 무엇에 기반을 둬야 하는지 살펴보면 도움이 된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사실 여기서 가치 창출에 대해서만 이해하여도 큰 성과라고 생각한다. 

 

프로젝트 관리의 전체적인 로드맵을 이번 글에서 소개하였고, 각 세부사항은 다음글에서 상세히 알아보도록 하겠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