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Career의 첫 시작은 SI전문 기업인 "쌍용정보통신" 에서 약 5년 간 개발자로 근무 하였다. 당시 나의 개발실은 스포츠SI 개발실이였다. 스포츠 SI Project가 생소한 분들이 많을 것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스포츠 SI 또한 공공SI 중 하나이다. 보통 공공 SI라하면 행안부나 우정국 관련 Project를 생각하겠지만 스포츠 대회는 보통 나라에서 주관을하고 공공사업으로 진행 한다. 

 

총 4번의 SI Project를 수행한 경험이 있다. 스포츠 대회를 운영하는 부분에는 많은 IT장비들과 업무 시스템이 필요하기에 그 규모가 작지 않다. 규모가 큰 만큼 이해관계자, Project 수행 구성원이 많다.

 

아래 4개가 내가 참여했던 Project 리스트 이다. 베트남 다낭 Project 外 모두 50억 이상 규모이며, IT Outsourcing 외에 50명~150명 정도의 개발자가 투입되어 개발/운영이 진행 되었다.

 

1. 2018 평창 동계 올림픽 정보통합 구축 프로젝트 (약 350억) - '15.10~'17.08 (1년 10개월)

2. 2016 다낭 베트남 아시아 비치게임 정보통합 구축 프로젝트 협력회사로 참여 (약 10억) - '16.04 ~ '16.10 (7개월)

3. 2015 경북 문경 세계군인체육대회 정보통합 구축 프로젝트 (약 50억) - '14.10~'15.10 (1년) 

4. 2014 인천 아시아 경기대회 정보통합 구축 프로젝트 (약 250억) - '12.08~'14.10 (2년 2개월)

 

스포츠 SI는 주요 시스템 영역을 3가지 정도로 구분 할 수 있다.

 

1. GMS (Game Menagement) : 스포츠 대회 운영을 위한 시스템  

 예시) 출입국 관리 시스템, 선수촌 관리 시스템, 선수등록 시스템, 보안 시스템 등 

 

2. GRS (Game Result System) : 스포츠 대회 內 각 종목 별 게임운영을 위한 시스템 

 예시) 수영 경기 운영 시스템,  각 종 기록 장비, 스코어 보드 등 

 

3. Info (Infomation System) : 스포츠 대회 공식 홈페이지 및 Official 기록을 배포하는 정보 시스템 

 예시) 공식 홈페이지, Official 공식 기록 정보 시스템, 모바일 시스템 등 

 

스포츠 SI는 보통 글로벌 Project로 진행되며, 기록 장비, 측정 부분에서 독보적인 솔루션을 보유하고 있는 "스위스타이밍" 이라는 회사와 협업을 많이 한다. 

 

예를 들어, 육상같은 경우 정확하고 세밀한 기록 측정을 통해 순위를 가리고 기록을 관리한다. 때문에 관련 분야에서 특화된 솔루션을 보유하고있는 기업이 필요하며 그 중 하나가 "스위스타이밍"이라는 회사가 있다. 아시아권에서는 "세이코"가 있다.

 

[참고]

https://www.swisstiming.com/

 

[글로벌 Project]

프로젝트 발주 및 사업은 국내에서 이루어지지만 스포츠 대회의 경우, 글로벌인 경우가 많기에 Project 또한 글로벌 방식으로 진행 되어진다. Agile 방법론이 활성화 되지 않은 시기 이기에 예측적 개발 방법론인 Waterfall 방식으로 Project가 통합관리 되었고, 변경요청서 (Change Request)가 아주 타이트하게 관리 되었던 부분이 기억에 남는다. 또한, 글로벌 Project 였기에 해외 업체 및 해외 이해관계자와 의사소통 부분이 많았다.

 

[주요 시스템]

스포츠 SI의 핵심은 단 한번의 실수도 용납되지 않는 GRS (Game Resul System) 시스템 운영이다. 상상을 해보면 당연하다. 100M 육상 이벤트를 진행했는데 기록이 측정되지 않았다고 가정해보자. 해당 Issue는 대회 조직위원회 뿐 아니라, 국가적 망신이 된다. 때문에 GRS는 Live 에 강해야 하며 실수가 용납되지 않는다. 

 

[핵심 기술영역]

해당 GRS에서 발생한 데이터는 실시간으로 Info 시스템으로 송신되며, Info 시스템은 기자들 (Press) 에게 실시간으로 공식 기록 정보를 제공한다. 때문에 해당 SI Project에서는 데이터 송/수신 기술이 매우 중요하게 다뤄졌다. 이러한 부분 때문에 IOC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 에서는 데이터 피드 부분을 전문적으로 관리하고 해당 자료를 Open 하여 타 대회에서 참고할 수 있도록 한다.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XML 이나 Josn  데이터 구조를 설계할 때 ODF (Olympic Data Feed) 를 참고하면 많은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Sample]

https://odf.olympictech.org/

 

데이터 송수신 방식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다음 글에서 설명하도록 하겠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