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Sungeun Blog
검색하기

블로그 홈

Sungeun Blog

tuna-blog.tistory.com/m

IT Career Note

구독자
0
방명록 방문하기
공지 링크드인 URL 모두보기

주요 글 목록

  • 프로젝트 관리계획서 개발 프로젝트 관리계획서는 모든 보조적인 계획서를 정의하고, 작성 및 조율을 통해 하나의 종합적인 관리계획서로 통합하는 프로세스 입력물 (Input)도구 및 기법 (Tool & Technique)산출물 (Output)1. 프로젝트 헌장 ((Project Charter)2. 다른 프로세스 산출물 (Outputs from other processes)3. 기업환경요인 (Enterprise Environmental Factor)4. 조직 프로세스 자산 (Organization Process Assets) 1. 전문가 판단 (Expert judgment)2. 자료 수집 (Data Gathering) 2.1 브레인스토밍  2.2 체크리스트  2.3 핵심전문가 그룹 (Focus group) 2.4 인터뷰 3. 대인관계와.. 공감수 5 댓글수 0 2024. 10. 9.
  • 프로젝트 작업 지시 및 관리 프로젝트 작업 지시와 관리는 프로젝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프로젝트 관리 계획과 승인된 변경을 이행하고, 프로젝트 작업을 지도 및 수행하는 프로세스이다. 프로젝트 작업 지시 및 관리  ITO입력물 (Input)도구 및 기법 (Tool & Technique)산출물 (Output)1.프로젝트 관리 계획서 (Project Management Plan) -전체 구성요소(any components) 2. 프로젝트 문서   2.1 변경 로그   2.2 교훈물 관리대장   2.3 마일스톤 목록   2.4 프로젝트 의사소통   2.5 프로젝트 일정   2.6 요구사항 추적 매트릭스   2.7 위험 관리대장   2.8 위험 보고서 3. 승인된 변경 요청 (Approved Change Request) 4. 기업환경요인.. 공감수 1 댓글수 1 2024. 9. 20.
  • 프로젝트 헌장 (Project Charter) 개발 우리는 프로젝트 진행을 위하여 회사 or 조직의 공식적인 승인 과정이 필요한데, 그 승인을 위한 가장 기본적인 문서/과정을 프로젝트 헌장 (Project Charter) 혹은 프로젝트 승인서, 품의서 라고 부른다.  프로젝트 헌장(Chaerter)은 프로젝트 자원, 예산, 목표를 부여하기 위해 권한을 가진 관리자로 부터 승인 받은 문서이며, 이 문서의 승인을 통하여 프로젝트 관리자는 조직의 자원과 프로젝트 활동을 수행할 권한이 공식적으로 프로젝트 관리자(PM)에게 주어진다.  프로젝트 헌장 개발 (Develop Project Charter) ITO 입력물 (Input)도구 및 기법 (Tool & Technique)산출물 (Output)1. 비즈니스 문서 (Business Document)1.1 비즈니스 .. 공감수 3 댓글수 5 2024. 9. 10.
  • 예측적 프로젝트 관리 프로세스 그룹 (49개 서브 프로세스) PMP 7판에서는 예측적 프로젝트 관리 프로세스를 상세히 다루지 않지만, 사실 6판의 예측적 프로젝트 관리 프로세를 이해해야만 7판과 나아가 Agile 까지 완벽히 이해할수 있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예측적 프로젝트 관리 프로세스 그룹 (49개 서브 프로세스)를 정리하고 주요 사항을 알아 보도록 하겠다.  지식영역착수 프로세스 그룹계획 프로세스 그룹실행 프로세스 그룹감시 및 통제 프로세스 그룹종료 프로세스 그룹1. 프로젝트 통합 관리 1.1 프로젝트 헌장 개발 1.2 프로젝트 관리 계획 개발1.3 프로젝트 작업 지시 및 관리 1.4 프로젝트 지식관리 1.5 프로젝트 작업 감시 및 통제1.6 통합 변경 통제 수행 1.7 프로젝트 종료 또는 단계 종료 2. 프로젝트 범위 관리  2.1 범위관리계획 수립 2.. 공감수 1 댓글수 0 2024. 9. 6.
  • PMBOK 7판 전체 Road Map ′12년도 부터 IT Career를 이어오면서 많은 Project를 경험했고 팀원으로서 수행 뿐 아니라 PM으로 Leading도 해보았다.′23년도 12월에 문뜩 나는 Project Management 전문가인가? 스스로 물었을 때, 경험에 의존적일 뿐 공식적인 방법으로 증명할 수 없었다. 때문에, 그 동안의 Project 경험과 전문지식을 정리 할 겸 PMP 자격증을 취득하기로 마음먹었고 ′24년 4월에 Project Management Professional (PMP)®, PMP 자격증을 취득하였다.  Project의 궁극적인 목표는 Value(가치) 창출이다. 여기서 Value란, 보통 재무적인 효과/이점을 뜻한다. 물론, 정량적인 Cost 효과가 아닌 정성적인 면도 존재하지만 이 부분도 결국엔 재.. 공감수 0 댓글수 0 2024. 7. 16.
    문의안내
    • 티스토리
    • 로그인
    • 고객센터

    티스토리는 카카오에서 사랑을 담아 만듭니다.

    © Kakao Corp.